티스토리 뷰
반응형
제주 오름 설명
제주에 있는 오름 중 90개의 오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들어있습니다. (오름영문명, 오름명, 위치, 비고, 표고, 경도, 위도, 설명 등) 제주 오름에 대한 기본 정보입니다.
오름명 | 오름영문명 | 위치 | 비고 | 표고 | 경도 | 위도 | 설명 |
아부오름 | abu |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| 51 | 301.4 | 126.777283 | 33.448875 | 비고 51m의 원형 화구를 가진 오름이다. 거칠지 않은 산 체와 완만한 탐방로가 있어 여유로운 분위기의 오름이다. |
아끈다랑쉬 | akkeundalangswi |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 | 58 | 198 | 126.8306516 | 33.47413717 | 비고 58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잡목들이 거의 없어 그늘을 찾기 어렵지만 짧은 시간 안에 큰 무리없이 탐방이 가능하다. |
알밤오름 | albam |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| 154 | 393.6 | 126.885675 | 33.480757 | 비고 154m. 말굽형 형태의 오름. 산체가 밤알을 닮아 알밤오름이라 명칭되었다. |
알오름 | al |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| 51 | 145.9 | 126.713135 | 33.489746 | 비고 51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|
안돌오름 | andol |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| 93 | 368.1 | 126.757126 | 33.455814 | 비고 93m의 말굽형 형태의 오름이다. 오름 전체에 초지가 있고. 소나무. 청미래덩굴 등이 자생한다. 계절별로 여러 종류의 야생화를 볼 수 있다. |
안세미 | ansemi | 제주시 봉개동 | 91 | 396.4 | 126.608124 | 33.467098 | 비고 91m. 말굽형(북동향) 형태의 오름. 오름 기슭 아래에 있는 샘터를 중심으로 안쪽과 바깥쪽에 있는 두 화산체를 두고 안새미와 밧새미라고 부른다. |
백약이오름 | baeg-yagi |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| 132 | 356.9 | 126.7897666 | 33.43680944 | 비고 132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예부터 약초가 많이 자생하고 있어 백약이오름이라 명칭되었다. |
밝은오름 | balgeun | 제주시 한림읍 상명리 | 43 | 182.5 | 126.265854 | 33.360935 | 비고 43m의 북향 말굽형 굼부리를 지닌 화산체. 비고도 낮고 규모도 작은 편이다. |
바농오름 | banong |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| 142 | 552.1 | 126.6538018 | 33.45377549 | 비고 142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바농은 바늘의 제주 방언을 말하며 과거 오름 주변에 유난히 가시덤불이 많아 명칭되었다. |
비치미오름 | bichimi |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| 109 | 344.1 | 126.76329 | 33.426395 | 비고 109m의 말굽형 화산체이다. |
밧돌오름 | botdol |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| 103 | 352.8 | 126.76297 | 33.460716 | 비고 103m의 오름. 동쪽 봉우리와 서쪽 봉우리에 바윗돌이 박혀 있고. 양쪽 봉우리 사이 북사면으로 패인 골짜기가 북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룬다. |
천아오름 | cheona | 제주시 한림읍 상대리 | 49 | 133.6 | 126.298607 | 33.404919 | 비고 49m의 말굽형(서남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초낭(참나무)가 많아 붙여진 명칭이다. |
칡오름 | chik | 서귀포시 상효동 | 96 | 271 | 126.603737 | 33.283329 | 비고 96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|
대병악 | daebyeongak | 서귀포시 안덕면 상창리 | 132 | 491.9 | 126.367577 | 33.306248 | 비고 132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소병악과 나란히 위치해있고 크기에 따라 대. 소병악이라 명칭되었다. |
대수산봉 | daesusanbong |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| 97 | 137.3 | 126.902069 | 33.438522 | 비고 97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과거 봉수대 흔적이 어렴풋이 남아있다. 산정부를 제외한 전 사면이 삼나무와 해송으로 숲을 이룬다. |
대왕산 | daewangsan |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| 83 | 157.6 | 126.872673 | 33.455917 | 비고 83m의 말굽형(북서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오름 사면으로 연결된 형세가 왕(王)자 형으로 생겼다하여 붙여진 명칭이다. |
다랑쉬 | dalangswi |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 | 227 | 382.4 | 126.819862 | 33.475208 | 비고 227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오름으로서 갖춰야 할 입지와 환경이 뚜렷하고 규모가 큰 편이다. 당당한 기세와 위엄을 느낄 수 있다. |
달산봉 | dalsanbong |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| 87 | 136.5 | 126.832405 | 33.345638 | 비고 87m의 말굽형(동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산 체는 세 개의 봉우리가 능선으로 연결되어 길게 누워있는 형태이다. |
당오름 | dang |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| 69 | 274.1 | 126.777916 | 33.468353 | 비고 69m의 오름.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전체적으로 나직하고 둥그스름한 몸집의 모양이다. |
당산봉 | dangsanbong |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| 118 | 148 | 126.172981 | 33.308826 | 비고 118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동남쪽 사면은 둥그스름하면서 가파르고. 곳곳에 암층이 있다. |
단산 | dansan |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리 | 113 | 158 | 126.288719 | 33.243938 | 비고 113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|
도청오름 | docheong |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| 70 | 136.7 | 126.814339 | 33.315445 | 비고 70m의 말굽형(남동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전 사면에 걸쳐 소나무를 비롯한 잡목들이 깊은 숲을 이루고 있다. |
독자봉 | dokjabong |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| 79 | 159.3 | 126.854477 | 33.387119 | 비고 79m의 말굽형(남동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정상부 한 쪽에 봉수대 터가 남아있다. 제주올레 3코스를 지난다. |
돔배오름 | dombae |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| 36 | 466 | 126.668571 | 33.429062 | 비고 36m. 원형 화구를 가진 화산체. 돔배는 제주 방언으로 도마를 말하는데 오름 모양새가 도마의 모양과 닮아 명칭되었다. |
돛오름 | dot |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| 129 | 284.2 | 126.8015166 | 33.48107138 | 비고 129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비자림 서남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374호로서 비자나무 대군락을 이룬다. |
둔지봉 | dunjibong |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 | 152 | 282.2 | 126.795341 | 33.502773 | 비고 152m의 말굽형(남향) 화구를 가진 화산체이다. 소나무. 삼나무. 편백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송과 억새 또한 넓게 분포되어 있다. |
두산봉 | dusanbong |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| 101 | 126.5 | 126.885353 | 33.481148 | 비고 101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이중식 화산체. 동남사면에 이르는 화구륜은 침식되어 절벽을 이루고. 북서쪽 사면에는 풀밭이 평지를 이룬다. |
어대오름 | eodae |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| 55 | 210.5 | 126.7608417 | 33.49564978 | 비고 55m의 말굽형(북서향) 화구를 가진 화산체이다. |
어도오름 | eodo |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| 73 | 143 | 126.307381 | 33.421005 | 비고 73m의 말굽형(북향) 화구를 가진 화산체. 경사가 완만하고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있다. |
은월봉(윤드리오름) | eunwolbong |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| 75 | 179.6 | 126.854477 | 33.46896 | 비고 75m의 말굽형(북동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남동쪽에 소나무와 삼나무가 조림되어 깊은 숲을 이룬다. |
갑선이오름 | gabseon-i |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| 83 | 188.2 | 126.781845 | 33.359951 | 비고 83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껍질을 미처 벗지 못한 매미의 굼벵이와 그 모습이 닮아 붙여진 명칭이다. |
개오름(성읍) | gae |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| 130 | 344.7 | 126.772675 | 33.423016 | 비고 130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전망권이 괜찮은 편이다. |
가마오름 | gama |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| 51 | 140.5 | 126.246628 | 33.305321 | 비고 51m 말굽형(북동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. 일제시대 일본군이 주둔했던 곳으로 현재도 인공적으로 파인 수직굴이 존재한다. |
감낭오름 | gamnang |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| 45 | 439.8 | 126.350502 | 33.324684 | 비고 45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. 지금은 아니지만. 이전에 오름 주변에 감나무가 많아 지어진 명칭이다. |
가세오름 | gase |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 | 101 | 200.5 | 126.78109 | 33.331295 | 비고 101m의 말굽형(남서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오름의 형세가 가세(가위)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. |
가시오름 | gasi |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리 | 77 | 106 | 126.243866 | 33.247208 | 비고 77m의 말굽형(남서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오름사면에 가시나무가 많이 자생하여 붙여진 명칭이다. |
거린오름 | geolin |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| 68 | 298 | 126.332619 | 33.304913 | 비고 68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|
걸리오름 | geolli |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 | 14 | 123.8 | 126.815575 | 33.376331 | 비고가 14m 밖에 되지 않는 화산체로 오름이라 부르기 어렵지만. 산책로 정비는 잘 되어있다. |
거문오름 | geomun |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| 112 | 456.6 | 126.720299 | 33.456268 | 비고 112m의 복합형 화구를 가진 화산체. 제주에서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오름이다. 넓고 커다란 굼부리와 아홉 개로 이어지는 봉우리가 장관이다. |
거슨세미 | geoseunsemi |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| 125 | 380 | 126.759544 | 33.450577 | 비고 125m의 말굽형(서향) 형태의 오름. 늦가을 은빛 물결의 억새 경관을 볼 수 있다. |
갯거리오름 | getgeoli |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 | 69 | 253.5 | 126.292931 | 33.376663 | 비고 69m의 말굽형(서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오름의 형세를 두고 개가 꼬리를 끌고 누워있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. |
극락오름 | geuglak |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| 64 | 313.5 | 126.414978 | 33.436234 | 비고 64m의 말굽형(북서향) 화구를 가진 화산체이다. 정상 부근을 비롯해 사면에 걸쳐 소나무가 군락을 이룬다. |
금오름 | geum |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| 178 | 427 | 126.305847 | 33.35722 | 비고 178m의 원형(화구호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타원형의 분화구 내부에는 연중 물이 고이거나 습지를 이룬다. |
고근산 | gogeunsan | 서귀포시 서호동 | 171 | 396 | 126.514198 | 33.268082 | 비고 171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제주 올레 7-1코스 중간 지점 위치해 있다. 억새 군락을 이루고 있다. |
궁대악 | gungdaeak |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| 54 | 238.8 | 126.823044 | 33.435707 | 비고 54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전 사면을 따라 삼나무와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. |
군산 | gunsan |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 | 280 | 334 | 126.370857 | 33.251938 | 비고 280m의 원추형(라바돔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|
이달봉 | idalbong |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| 119 | 488 | 126.348381 | 33.363838 | 비고 119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|
이달이촛대봉 | idari-chotdaebong |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| 86 | 456 | 126.347038 | 33.366447 | 비고 86m의 원추형 화구를 가진 화산체. 이달봉과 쌍둥이 화산체이다. 유난히 봉긋하게 솟은 봉우리 모습을 촛대에 비유하여 명칭하였다. |
인정오름 | injeong | 서귀포시 토평동 | 49 | 232.5 | 126.585411 | 33.283649 | 비고 49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|
자배봉 | jabaebong |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| 111 | 211.3 | 126.675797 | 33.299992 | 비고 111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비고가 꽤 높지만 중간 능선을 따라 한 바퀴를 돌아볼 수 있는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있다. |
제지기오름 | jejigi | 서귀포시 보목동 | 85 | 94.8 | 126.609947 | 33.241749 | 비고 85m의 원추형 화산체. 올레길 6코스를 지난다. |
저지오름 | jeoji |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 | 104 | 239 | 126.2509 | 33.334156 | 비고 104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제주올레 13코스의 종점에 위치해 있다. 전망대에서 한라산을 포함. 주변 오름들을 한눈에 볼 수 있다. |
정물오름 | jeongmul |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| 151 | 466 | 126.329353 | 33.339428 | 비고 151m의 말굽형(북서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기슭에 샘이 있어 정물오름이라 명칭되었다. |
제석오름 | jeseok |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| 48 | 87.5 | 126.835685 | 33.347694 | 비고 48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전 사면에 걸쳐 소나무를 비롯한 잡목들이 숲을 이루며 오름의 기슭까지 밀감 밭으로 되어있다. |
지미봉 | jimibong |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| 160 | 165.8 | 126.901497 | 33.495327 | 비고 160m 말굽형 화산체. 제주 동부 해안가에 위치해 있어 일출봉과 우도를 전망하기에 좋다. |
좌보미 | jwabomi |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| 112 | 342 | 126.8067627 | 33.43609516 | 비고 112m의 말굽형(남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5개의 큰 봉우리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기형적 형태의 커다란 산체를 형성한 형태이다. |
모구리오름 | moguli |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| 82 | 232 | 126.8284 | 33.408043 | 비고 82m의 말굽형(남동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어미 개가 새-끼를 껴안은 모습이라 해서 모구리라 명칭되었다. 굼부리 중심에 다시 알오름이라는 새-끼오름이 자리하고 있다. |
모지오름 | moji |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| 86 | 305.8 | 126.767769 | 33.393829 | 비고 86m의 말굽형 화산체이다. 굼부리안에 알오름이 있다. |
무악(개오름) | muak |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 | 126 | 496.1 | 126.369118 | 33.315536 | 비고 126m의 오름. 오름 모양이 개가 누워있는 모습과 비슷하다하여 개오름이라고도 불린다. |
명월오름 | myeongwol |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 | 39 | 148.5 | 126.279259 | 33.382324 | 비고 39m의 말굽형 화산체. 애초에 산체가 낮고. 세월이 흘러 개간과 변화로 인해 아쉽지만 오름으로서의 매력은 낮다. |
묘산봉 | myosanbong | 제주시 구좌읍 서김녕리 | 81 | 116.3 | 126.744804 | 33.543922 | 비고 81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. 전 사면에 소나무를 비롯한 잡목들이 빽빽히 숲을 이룬다. |
남산봉 | namsanbong |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 | 54 | 178.8 | 126.810814 | 33.384289 | 비고 54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과거 오름 정상에 봉수대가 있었고 아직도 봉수대 터 자리가 뚜렷하게 남아있다. |
낭끼오름 | nangkki |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| 40 | 185.1 | 126.841972 | 33.435303 | 비고 40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정상에 전망대가 있으며 비고가 낮아 오르는데 큰 어려움이 없고. 전망도 좋은 편이다. |
넉시악 | neoksiak | 서귀포시 남원읍 의귀리 | 56 | 146.2 | 126.7146 | 33.305565 | 비고 56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기슭 아래와 주변이 밀감밭으로 개간되었지만 산책로를 따라 깊은 숲을 이루고 있어 탐방하기 좋다. |
늡서리 | neubseoli |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| 59 | 488.9 | 126.66494 | 33.441711 | 비고 59m. 말굽형(북동향)형태의 오름. 분화구 외부 경사진 곳에 자연림이 무성하게 숲을 이루고 있다. |
높은오름 | nopeun |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| 175 | 405.3 | 126.792419 | 33.457088 | 비고 175m의 오름. 주변 일대에서 유일하게 고도가 400m 이상되는 오름이다. 넓은 원형의 분화구와 둘레가 500m에 달한다. |
삼매봉 | sammaebong | 서귀포시 서홍동 | 104 | 153 | 126.54631 | 33.244247 | 비고 104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제주올레 6코스의 종점이자 7코스의 시작점에 위치해 있다. 서쪽으로 마라도와 가파도를 볼 수 있다. |
생길이오름 | sengili |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 | 65 | 260 | 126.642708 | 33.305759 | 비고 65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|
서걸세 | seogeolse |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 | 50 | 150 | 126.618401 | 33.280914 | 비고 50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현재 오름 대분분이 밀감 밭으로 개간이 되어있다. |
설오름 | seol |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| 98 | 238 | 126.769951 | 33.370998 | 비고 98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가시리를 통과하는 가마천이 오름 서측 화구를 휘돌아 흐른다. |
성불오름 | seongbul |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| 97 | 361.7 | 126.749092 | 33.423302 | 비고 97m의 말굽형 화산체이다. 탐방로 정비가 잘 되어 있다. |
섯알오름 | seot-al |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| 21 | 40 | 126.281504 | 33.20594 | 비고 21m의 말굽형(서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송악산 둘레에 줄지어 분포된 여러 개의 말굽형 알오름들 중 하나이다. |
서우봉 | seoubong |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| 106 | 111 | 126.677505 | 33.54575 | 비고 106m의 오름. 원추형 화산체이다. 해안과 인접해 있어 오름을 오르며 푸른 바다를 함께 볼 수 있다. |
새신오름 | sesin | 서귀포시 한경면 청수리 | 41 | 141.2 | 126.238441 | 33.297661 | 비고 41m의 원형 화산체. |
식은이오름 | sigeuni |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| 45 | 286 | 126.747414 | 33.473301 | 비고 45m. 말굽형(남서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기슭과 능선으로 이어지는 곳에 잡목들과 가시덤불 등이 빽빽히 숲을 이룸. |
식산봉 | sigsanbong |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| 55 | 60.2 | 126.919968 | 33.465843 | 비고 55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기슭과 등성에 유독 바위가 많아 바위오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. |
소병악 | sobyeongak | 서귀포시 안덕면 상창리 | 93 | 473 | 126.373634 | 33.308426 | 비고 93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대병악과 나란히 있다. |
송악산 | songaksan |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| 99 | 104 | 126.289551 | 33.200703 | 비고 99m의 복합형 화산체. 정상에서 마라도. 가파도. 산방산. 한라산 등 제주 명소들을 비롯하여 해안 전망이 매우 좋다. |
수산봉(물메) | susanbong |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 | 92 | 121.5 | 126.388649 | 33.473545 | 비고 92m. 원추형 분화구를 지니고 정상에 물이 고인 작은 연못이 있어 '물메' 혹은 정상에 봉수가 있어 '수산봉'이라 부른다. 제주올레 16코스에 포함되어 있다. |
통오름 | tong |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| 43 | 143.1 | 126.855972 | 33.39328 | 비고 43m의 말굽형(서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굼부리 안은 농경지로 개간이 되어 있다. 제주오름에 포함된 곳이기도 하다. |
토산봉 | tosanbong |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 | 75 | 175.4 | 126.773849 | 33.32391 | 비고 75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마을과 인접해있고 산책로 정비가 잘 되어있으며 제주올레 4코스를 지난다. |
따라비오름 | ttalabi |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| 107 | 342 | 126.754288 | 33.38892 | 비고 107m의 복합형 화산체이다. 3개의 굼부리가 이어진 모습이 특징이다. |
우진제비 | ujinjebi |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| 126 | 410 | 126.698135 | 33.467384 | 비고 126m의 오름. 둥글고 통통한 산체에 서쪽 봉우리가 주봉이며 북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체를 가진 화산체. |
월랑지 | wollangji |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| 35 | 260.2 | 126.809734 | 33.438665 | 비고 35m의 말굽형(북향)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외부에서는 낮고 앙증맞은 모습이지만 산체 내부는 깊은 숲을 이루고 있다. |
원물오름 | wonmul |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| 98 | 458.5 | 126.344551 | 33.322323 | 비고 80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. 비교적 완만한 경사이고 조망권 또한 괜찮은 편이다. |
열안지오름 | yeol-anji | 제주시 봉개동 | 54 | 328 | 126.605356 | 33.47307434 | 비고 54m의 말굽형(북향) 화구를 가진 화산체이다. |
영천악 | yeongcheonak | 서귀포시 상효동 | 97 | 277 | 126.600677 | 33.295338 | 비고 97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잘 정리된 산책로가 5.16도로까지 이어져있다. |
영주산 | yeongjusan |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| 176 | 326.4 | 126.7962446 | 33.40456816 | 비고 176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높은 비고를 가졌기 때문에 정상에서의 조망권이 매우 좋다. |
용눈이오름 | youngnuni |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| 88 | 247.8 | 126.8326896 | 33.45987829 | 비고 88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타 오름에 비해 능선과 화구의 조화가 매우 아름답다. |
유건에오름 | yugeone |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| 75 | 190.2 | 126.847069 | 33.413563 | 비고 75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. 세 개의 봉우리가 능선을 따라 이어지면서 원형의 굼부리를 형성하고 있다. |
댓글